기윤실·교회개혁실천연대, “권력 비리의 온상” 규탄
지난 9일 오전 서울 (사)대한민국국가조찬기도회 앞에서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하 기윤실)과 교회개혁실천연대(이하 개혁연대)가 공동으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조찬기도회 해체를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박득훈 개혁연대 고문은 “국가조찬기도회는 한국 민주주의 결정적 순간마다 반민주 권력과 야합해 기득권을 유지해 왔다”며 “예레미야 시대 거짓 선지자들이 ‘평화’라는 이름으로 정의를 가린 것과 같은 죄를 저질렀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이명진 기윤실 간사는 국가조찬기도회의 역사적 기원과 독재정권 비호 사례를 구체적으로 지적하며 “당신들이 기도한 국가는 누구를 위한 것이었는가. 불의한 권력과 함께 누린 특혜를 회개하라”고 촉구했다.
이상민 기윤실 공동대표는 “나라를 위한 기도를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통령을 초청해야만 하나님이 기도를 들으시는가. 예수께서는 권력자와 함께 식사하지 않으셨다”며 “앞으로 기도회를 이어가려면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 이주노동자, 빈곤층과 함께 울며 기도하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국가조찬기도회 이봉관 회장과 이배용 부회장이 대통령 부부에게 각각 1억원대 명품과 순금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언급하며 “기도 없이 탐욕만 남은 집단”이라고 비판했다. 또 정치권을 향해 “더 이상 국가조찬기도회에 참석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범종교개혁시민연대, “정교유착의 상징, 즉각 폐지”
이어 11일에는, 범종교개혁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가 공식 성명서를 발표해 국가조찬기도회 폐지 요구에 힘을 보탰다. 시민연대는 개신교·불교·원불교·천도교·천주교 등 5대 종단과 학술·시민단체를 포함해 28개 단체가 연대한 범종교 시민연합체다.
성명에서 시민연대는 국가조찬기도회를 “정교유착의 온상이자 부패의 고리”로 규정하며 다음과 같이 밝혔다.
“1966년 대통령조찬기도회에서 출발해 박정희 유신독재와 전두환 군사정권 등 불의한 권력과 결탁하며 정치적 정당성 확보 도구로 활용돼 왔다. 대통령 부부에게 사치품을 제공한 혐의를 받는 건설사 회장이 주도한다는 사실까지 드러나며 더 이상 신앙의 이름으로 포장될 수 없다.”
시민연대는 정부와 국회, 공직자, 국민을 향해 ▲정부와 국회는 국가조찬기도회를 즉각 폐지할 것 ▲모든 공직자는 헌법의 정교분리 원칙을 준수하고 공·사를 철저히 구분할 것 ▲국민은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정치권은 정교유착 방지 제도를 강화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면서 “종교가 정치권력의 간신이 되기를 거부하고 건강한 비판과 감시의 역할을 멈추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역사와 도덕성 모두에 드리운 그늘
국가조찬기도회는 1960년대 박정희 정권 시절 대통령조찬기도회로 시작해 독재정권과의 결탁, 권력자 비호, 그리고 최근의 대통령 부부 사치품 수수 의혹까지 잇달아 논란의 중심에 서왔다. 종교계의 이 같은 규탄 움직임은 이러한 역사적 책임과 현재의 도덕적 위기를 동시에 꼬집으며 정교유착 근절 여론을 한층 확산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