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 (김유철) 시시한 이야기 42 : 안중근 토마스를 성인으로
- 왜?안중근 토마스대한의군 참모중장동양평화론을 말하다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이토 히로부미 저격1910년 3월 26일 뤼순교수형으로 떠나다아직도 그는 테러범인...
- 김유철2020-03-31
-
- 인간은 관계의 그물망 ‘사이’에 있는 존재다
- [이기상-신의 숨결] 사이를 나누는 살림지기, 다석의 인간관 ②
- 우리시대 새로운 인간상, ‘나’는 어떤 ‘존재’인가이제 우리가 처한 시대적 상황에 대해 우리 나름대로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고민해 보도록 하자. 그...
- 이기상2020-03-30
-
- 생명의 물, 어떻게 마실 수 있나
- [이신부의 세·빛] 거룩함의 기운이 종교 영역에 갇히지 않는 길
- 사순 제4주간 토요일 (2020.03.28.) : 예레 11,18-20; 요한 7,40-53오늘 복음은 초막절 축제에 참석하러 예루살렘에 올라가신 예수님께서 생명의 물에 관해 군중에게 가...
- 이기우2020-03-27
-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디지털 성착취 관련 온라인좌담회
- 28일 오후 4시 페이스북 생중계… 이후 유튜브서 확인 가능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시민들의 활동이 온라인 공간으로 이동하고 있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
- 문미정2020-03-26
-
- “건강해지고 싶으냐?”
- [이신부의 세·빛] 벳자타에서 일어난 일
- 사순 제4주간 화요일 (2020.03.24.) : 에제 47,1-9.12; 요한 5,1-16오늘 독서는 천사가 보여준 환시를 에제키엘 예언자가 예언자적 상상력으로 보고 전해주는 생명의 강...
- 이기우2020-03-24
-
- 온전한 삶을 위해 행동할 시간
- (김유철) 시시한 이야기 41 : 공기와 물과 창공을 그리워하며
- 온전한 삶을 위해 행동할 시간사람이 숨 쉴 수 있는 맑은 공기와물고기가 헤엄칠 수 있는 투명한 물과새들이 날 수 있는 텅 빈 창공이 그리운 날그마저 그리운...
- 김유철2020-03-24
-
- 21세기 영성?…우리 고유의 한국적인 영성이라야
- [이기상-신의 숨결] 사이를 나누는 살림지기, 다석의 인간관 ①
- 20세기 한국 철학자들은 시대정신을 어떻게 파악했나? 흔히 철학은 시대정신을 개념으로 잡는다고 말한다. 인류사적으로 문제가 가장 많았던 20세기의 시대정...
- 이기상2020-03-23
-
- 이탈리아, 연일 사망자 급증…고령·기저질환 영향
- 전국 봉쇄에도 사망자 급증…하루 475명 사망
- 코로나19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서유럽에서 극성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이탈리아의 상황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18일(현지 시간) < AFP >(아에프페)에 따르면...
- 끌로셰2020-03-19
-
- 종교·인종·국가·문화를 초월한 보편적 실천 기준
- [이신부의 세·빛] 셰마, 이스라엘!
- 사순 제3주간 수요일 (2020.03.18.) : 신명 4,1.5-9; 마태 5,17-19 오늘 하느님 말씀으로 듣는 신명기의 독서와 마태오의 복음에 공통된 주제가 계명입니다. 이는 모세 ...
- 이기우2020-03-18
-
- 도튼 인간과 도트지 못한 하느님
- (김유철) 시시한 이야기 40 : 멈추어야 할 일
- 도튼 인간과 도트지 못한 하느님하늘을 날아가는 사람이 있는가하면땅을 기어가는 하느님이 있다성스러운 사람이 있는가하면사람을 떠나지 못하는 하느님이...
- 김유철2020-03-17
-
- ‘없음’을 경험한 사람은 ‘있음’이 전부가 아님을 깨닫는다
- [이기상-신의 숨결] 다석 생명사상의 영성적 차원 ⑤
- 없이 계신 하느님, 없이 살아야 하는 인간서양사람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개념 틀은 ‘있음[존재]’인데, 우리에게는 그 있음보다 훨씬 더 위에 ‘없음[無․空...
- 이기상2020-03-16
-
- 교회가 지금 해야 할 일이 차고 넘친다
- (지성용) 인간, 교회 그리고 바이러스 ②
- ▶ 지난 1편에서 이어집니다. 페스트와 종교분열에서 프랑스 혁명까지교황직의 분열, 성직자와 수도자들 사이의 윤리적 방종, 평신도 사이에 퍼져있는 거짓 ...
- 지성용2020-03-13
-
- 방탕한 생활뿐 아니라, 그 회개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죄 까지도
- [이신부의 세·빛] “저희의 모든 죄악을, 바다 깊은 곳으로 던져 주소서”
- 사순 제2주간 토요일(2020.3.14.) : 미카 7,14-15.18-20; 루카 15,1-3.11ㄴ-32오늘 독서에 전해지는 미카의 예언서는 하느님께서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분임을 아주 잘 알...
- 이기우2020-03-13
-
- 세월호 가족, 대구 지원 모금…목표액보다 4배 넘게 모여
- “코로나19 함께 이겨내는데 큰 힘 될 것”
- 재난·참사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앞장서온 세월호 가족들이 코로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 지역 취약계층과 의료진들을 지원하기 위해 ...
- 문미정2020-03-11
-
- 사회적 회개와 종교적 회개의 명제
- [이신부의 세·빛] 새 마음과 새 영을 갖추어라
- 사순 제2주간 화요일 (2020.03.10.) : 이사 1,10.16-20; 마태 23,1-12 오늘 독서인 이사야 예언서 1장은 매우 신랄한 어조로 이스라엘의 지도자와 백성을 비판하는 내용...
- 이기우2020-03-10
-
- 저자는 먹보요 술꾼이라 부르는 너는 누구냐
- (김유철) 시시한 이야기 39 : 악다구니 세상
- 저자는 먹보요 술꾼이라 부르는 너는 누구냐‘오백만원하고도 바꾸지 않는다 저 천년 묵은 빗소리’긴 이름을 붙인홍대앞 클럽의 주인은먹보요 술꾼이었다...
- 김유철2020-03-10
- 가스펠툰더보기
-
-
[가스펠:툰] 보물이 있는 곳에 너희의 마음도 있다
제1독서 (지혜서 18,6-9)해방의 날 밤이 저희 조상들에게는 벌써 예고되었으니 그들이 어떠한 맹세들을 믿어야 하는지 확실히 알고 용기를 가지게 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백성은 의인들의 구원과 원수들의 파멸을 기대하였습니다.과연 당신께서는 저희의 적들을 처벌하신 그 방법으로 저희를 당신께 부르시고 영광스럽게 ..
-
[가스펠:툰] 옛 인간을 벗어 버리고 새 인간을 입은 사람
제1독서 (코헬렛 1,2; 2,21-23)허무로다, 허무! 코헬렛이 말한다. 허무로다, 허무! 모든 것이 허무로다! 지혜와 지식과 재주를 가지고 애쓰고서는 애쓰지 않은 다른 사람에게 제 몫을 넘겨주는 사람이 있는데 이 또한 허무요 커다란 불행이다.그렇다, 태양 아래에서 애쓰는 그 모든 노고와 노심으로 인간에게 남는 것이 무엇인가? 그의 나날은 근..
-
[가스펠:툰]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
제1독서 (창세기 18,20-32)그 무렵 주님께서 말씀하셨다.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원성이 너무나 크고, 그들의 죄악이 너무나 무겁구나. 이제 내가 내려가서, 저들 모두가 저지른 짓이 나에게 들려온 그 원성과 같은 것인지 아닌지를 알아보아야겠다.”그 사람들은 거기에서 몸을 돌려 소돔으로 갔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주님 앞에 그대로 서 있...
-
[가스펠:툰] "너는 많은 일을 염려하고 걱정하는구나"
제1독서 (창세기 18,1-10ㄴ)그 무렵 주님께서는 마므레의 참나무들 곁에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셨다. 아브라함은 한창 더운 대낮에 천막 어귀에 앉아 있었다. 그가 눈을 들어 보니 자기 앞에 세 사람이 서 있었다. 그는 그들을 보자 천막 어귀에서 달려 나가 그들을 맞으면서 땅에 엎드려 말하였다.“나리, 제가 나리 눈에 든다면, 부디 이 종을 ...
-
[가스펠:툰]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제1독서 (신명기 30,10-14)모세가 백성에게 말하였다.“너희는 주 너희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이 율법서에 쓰인 그분의 계명들과 규정들을 지키며,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여 주 너희 하느님께 돌아오너라. 내가 오늘 너희에게 명령하는 이 계명은 너희에게 힘든 것도 아니고 멀리 있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하늘에 있지도 않다. 그러니 ‘..
-
[가스펠:툰] 너희의 평화가 그 사람 위에 머무를 것이다
제1독서 (이사야서 66,10-14ㄷ)예루살렘을 사랑하는 이들아, 모두 그와 함께 기뻐하고 그를 두고 즐거워하여라. 예루살렘 때문에 애도하던 이들아, 모두 그와 함께 크게 기뻐하여라. 너희가 그 위로의 품에서 젖을 빨아 배부르리라. 너희가 그 영광스러운 가슴에서 젖을 먹어 흡족해지리라.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보라, 내가 예루살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