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 장 루이 토랑 추기경 선종 현지 시간으로 5일,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 장 루이 토랑(Jean-Louis Pierre Tauran) 추기경이 선종했다. 토랑 추기경은 올해 75세로 파킨슨병을 앓고 있었으며 치료를 위해 미국 코네티컷주에 머물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2018-07-06 끌로셰
-
“교황, 10월 로마에서 문 대통령과 만나길 원해” 한국과 교황청 간 수교 55주년을 맞는 올해, 교황청 외무장관 폴 리차드 갤러거 대주교가 오늘(5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접견했다. 2018-07-05 문미정
-
평신도 희년, 누구를 위한 것일까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한국천주교평신도사도직단체협의회 설립 50주년을 맞아 ‘평신도 희년’을 지내도록 승인했으며, 교황청 내사원은 한국의 평신도들을 위해 전대사를 수여하는 교령을 보내왔다고 발표했다. 는 경남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 김유철 씨와 천주교 청주교구 신성국 신부, 천주교 인천교구 지성용 신부를 만나 ‘평신도 희... 2018-06-22 염은경
-
민주적 사법개혁을 위한 길거리 미사 양승태 전 대법원장 시절의 재판거래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이에 대해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않는 김명수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을 규탄하기 위해 시민들이 거리로 나섰다.어제(18일) 오후 7시30분 대법원 앞에서는 천주교 서울대교구, 수원교구, 의정부교구, 인천교구 정의평화위원회 등 교구 단체들이 주최한 ‘민주적 사법개혁을 위한 미사... 2018-06-19 곽찬
-
생애 첫 수학여행 떠난 캄보디아 아이들 캄보디아 푸삿(Pursat) 빈민가와 농촌지역 공부방 청소년 28명이 앙코르와트로 생애 첫 수학여행을 떠났다. 어려운 환경에서 지내는 아이들은 평소 차를 타볼 기회가 많이 않아 네 다섯시간 동안의 버스여행이 고된 일이었다. 그럼에도 아이들은 생애 처음 떠난 수학여행에 마냥 즐거워했다. 아이들은 캄보디아 문화유산의 도시 씨엠립(Siem Reap... 2018-06-12 문미정
-
30년 만에 명동성당서 봉헌된 ‘조성만 요셉’ 추모미사 고(故) 조성만 열사 30주기와 더불어 민주화를 위해 헌신했던 의인들을 기억하는 미사가 31일 오후 7시 서울 명동주교좌대성당에서 봉헌됐다. 천주교 신자였던 조성만 열사의 추모미사는 30년 만에 처음으로 올해 명동성당에서 봉헌됐다. 조성만 열사는 1988년 5월 15일 당시 스물네살의 나이로 ‘한반도 통일, 미군 철수, 군사정권 반대, 올림픽... 2018-06-01 곽찬
-
다가온 통일, 교회는 무엇을 할 것인가 저는 1999년에 처음으로 북한에 방문했고 지금까지 총 일곱 번 다녀왔습니다. 제가 정의구현전국사제단 공동대표를 맡고 있을 당시, 사제단 차원에서 지원사업을 하기 위해 수녀님 3명, 성직자 3명이 함께 가서 필요한 농기구나 비료 등을 전달했던 일이 있습니다. 2018-05-24 편집국
-
[안내] ‘부활하는 내 한반도여, 조성만 열사여’ 조국의 분단을 가슴 아파하고 애타게 통일을 염원했던 청년 신앙인, 조성만 요셉 열사의 30주기 추모행사가 15일부터 시작된다.사랑 때문이다. 내가 현재 존재하는 가장 큰 밑받침은 인간을 사랑하려는 못난 인간의 한 가닥 희망 때문이다. 이 땅의 민중이 해방되고 이 땅의 허리가 이어지고 이 땅에 사람이 사는 세상이 되게 하기 위한 알량... 2018-05-14 곽찬
-
제주 성이시돌목장 세운 임피제 신부 제주서 잠들어 4·3과 한국전쟁으로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진 제주도에서 목축업과 복지사업을 시작한 ‘돼지 신부’ 임피제(본명 패트릭 J.맥그린치, 성골롬반외방선교회) 신부가 23일 오후 향년 90세를 일기로 눈을 감았다. 임피제 신부는 최근 심근경색과 신부전증 등 건강이 악화돼 제주 한라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었다. “예수는 신부님께 어... 2018-04-24 문미정
-
(기고-김은순) 교회안의 변절자들 사람은 위기에 처하면 무의식적인 행동을 한다. 숨은 속마음까지 드러난다. 그런 행동을 하며 정작 본인들은 창피함도 부끄러움도 전혀 모른다. 아니 일말의 양심이 남아있더라도 타인에게 드러내면 안 된다. 요즘 '변절자'가 되어가는 교회 사람들을 목격하며 씁쓸하다. 한 때 민주화운동에 앞장섰던 사람이 변절자가 된 경우는 많이 봤다... 2018-04-20 김은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