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는 ‘동질성’ 회복보다, ‘이질성’ 수용이 중요” 한반도 평화에 전 세계의 관심이 모이는 가운데, 30일 국회의사당 의원회관에서는 ‘한반도 평화 전환의 변혁기,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포럼이 열렸다.여의도순복음교회 이영훈 목사는 4·27남북정상회담 이후로 온 세계의 관심이 한반도에 모이고 있다면서,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 나뉘어진지 73년, 정부가 수립된 지 70년이 된 ... 2018-05-31 곽찬
-
세계교회협의회 70주년, 남북 종교지도자 함께 모일까 교황청 공보실은 2일, 프란치스코 교황이 올 6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세계교회협의회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설립 70주년 행사에 참석한다고 알렸다. 2018-03-07 끌로셰
-
종교자유침해 비판하다 고소당한 종자연, 무죄판결 받아 동국대의 종교자유침해를 우려하는 성명을 발표했다가 명예훼손 소송에 휘말린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이하 종자연)이 지난 7일 무죄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은 2016년 8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종자연은 ‘건학이념이 전가의 보도가 되어서는 안 된다-동국대 학생의 종교자유 침해를 우려한다-’는 제목으로, 동국대의 종교자유침해를 비판... 2018-02-12 문미정
-
종교 재정 문제, 이제 공동으로 해결하겠다 종교 재정의 투명성, 책임성,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종교투명성센터’가 16일 출범했다. 재정 문제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고 개별 교단의 문제가 아닌 종교계 공동으로 해결한다는 점에서 뜻깊은 출범이다.종교투명성센터는 종교계 예산의 투명한 집행과 공개를 통해, 합리적인 재정 운영과 예산 집행을 도모하고 종교계에 대한 국민적 ... 2018-01-17 문미정
-
“종교개혁 없이 사회개혁은 불가능하다” 올 해로 ‘원효 탄신 1400주년’과 ‘루터 종교개혁 500주년’을 지내며, 종교계 내부에서 개혁을 향한 목소리가 불거졌고, 마침내 불교·개신교·천주교가 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2017-12-20 문미정
-
교회개혁 과정에서 ‘여성’, 무엇을 이뤘나 루터의 종교개혁은 ‘남성의, 남성에 의한, 남성을 위한’ 종교개혁이었다. 13일 한국교회여성연합회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한국기독교연합회관에서 ‘교회개혁과 여성’이라는 주제로 교회여성 공개토론회를 열었다.이날 하희정 감리교신학대학교 외래교수는 무소불위의 절대 권력이 된 교회가 휘두르는 ‘질서’라는 칼에 ‘자유... 2017-12-14 문미정
-
탈종교화 맞이한 종교, 무엇을 해야 할까 그리스도교와 불교 학자 12명이 서울 종로구 금선사에서 12일부터 1박2일 동안 끝장토론을 열었다. 학자들은 탈종교 시대의 종교와 종교인의 역할을 함께 고민하며 각자가 생각하는 해결 방안을 나눴다. 2017-07-13 최진
-
“명진 스님 징계, 근거 없고 절차 무시돼…무효다” 명진 스님 제적 징계는 징계사유와 징계절차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소급징계 등 불법적인 법 적용으로, 현 총무원장 스님의 종단 사유화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명진 스님에 대한 징계는 조속히 철회되어야 한다.교단자정센터가 명진 스님에 대한 징계 사유를 법리적으로 분석하고 징계 무효를 선언했다. 이들은 징계 처분을 내릴 법... 2017-06-14 최진
-
“명진 스님 승복 벗긴 조계종, 박근혜 부정 때 뭘 했나” 종단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조계종에서 승적이 박탈된 명진 스님의 조치에 사회 각계 원로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과 함세웅·문규현 신부 등 종교·문화·학술·시민사회 원로 40여 명은 31일 서울 종로구 혜화동에서 명진 스님 승적박탈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이들은 조계종이 유신이나 독재세력에게서 ... 2017-06-02 최진
-
교회의 반성문, “열두 가지 죄를 고백합니다” 교회가 스스로의 잘못을 진단하고 이를 쇄신하겠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쇄신의 시작이 냉철한 자기반성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교회의 자기 십자가 고백이 쇄신 의지에 대한 진정성을 더해줄 것으로 평가된다.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30일 한국교회를 진단하고 반성하는 ‘한국교회의 성찰과 반성’을 발표했다. 이들은 개신교가 사... 2017-05-31 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