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메르스에 대한 강우일 주교의 권고문을 보며
국가의 무기력은 국가에 대한 공포심과 의존을 국민들에게 더 확산시킬 수 있다. '국가가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우리는 각자 살아남을 수밖에 없다'라는 체념과 이기주의가 퍼질 수 있다. 이러한 체념과 이기주의를 나쁜 권력은 바라고 부추길 수 있다. 무능한 권력에 대한 비판은 가난한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종교가 반드시 할 일에 속한다. 착한 사마리아인은 다친 환자를 도와주었다. 의로운 예언자는 나쁜 권력에 저항하고 비판하여 착한 양떼를 보호한다. 착한 양떼가 다치기 전에 착한 목자는 나쁜 늑대를 비판해야 한다.
-
광화문 미사에 참석한 주교
지난 수요일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희생자를 위한 미사에 광주대교구 옥현진 보좌주교가 참석하였다. 한국 주교로서 처음 있는 일이다. 작년 추계 주교회의에서 ‘사제들에게 변하라고 할 것이 아니라 주교들이 스스로 변화해야 한다’고 주교들의 의견이 모아졌다는 사실도 옥주교는 전했다. 이제라도 주교가 광화문 미사에 ...
-
우리에게 기도가 부족하다
예수는 기도하는 분이었다. 예수는 밤에 기도하고 낮에 사람들과 함께 있었다. 예수는 중요한 일을 앞두고 기도하였다. 기도는 예수에게 하느님과 일치하고 사람과 하나되는 계기였다. 예수처럼 갈등속에 살았던 사람이 그리 많을까. 기도 없이 예수는 없었다. 그리스도인은 기도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에게 기도가 많이 부족하다....
-
성서교육, 이대로 좋은가
한국천주교회에서 가장 빈약한 부분이 신자교육이고, 그중에서도 가장 소홀한 분야는 아마 성서교육일 것이다. 성당을 수십 년 다녀도 성서교육을 제대로 받은 신자 숫자는 아주 적다. 어제 오늘 일은 아니지만, 이 상태가 언제까지 계속될지 염려된다. 그냥 이대로 놓아둘 것인가.대부분 본당에서 신심단체가 가장 많고, 교리반이 그 다음...
-
교회 안의 언어
가톨릭교회에서 쓰이는 언어에 대해 잠시 돌아보고 싶다. 언어는 삶과 생각에 막강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신앙생활에서 쓰이는 언어는 더 그렇다. 영향이 평생 지속될 수 있다.우리말 번역 성서를 살펴보자. 하느님과 예수에 대해 극진한 존칭을 붙이고 있다. 하느님의 존엄과 거룩함을 드높이는데 적절하지만, 인간에게 친근한 하느님을...
-
이름 없는 순교자
서론: 이름 없는 그리스도인(칼 라너)‘이름 없는 그리스도인’이라는 칼 라너의 말이 한때 가톨릭교회를 뒤흔든 주제였다면,‘이름 없는 순교자’는 지금 논의가 커지고 있는 주제다. 이름 없는 그리스도인자기 탓 없이 예수를 모르지만, 자기도 모르게 예수의 메시지를 사실상 받아들이고 실천하는 사람들을 그리스도교에서 어떻게 보아...
-
사제들의 정신건강 이대로 괜찮은가?
문제는 과도한 활동이 아닙니다. 오히려 적합한 동기도 없고, 그 활동을 통하여 자신을 기쁘게 하는 영성이 없이, 잘못 진행되는 활동이 문제입니다. 그렇게 되면 일은 필요이상으로 힘들어지고, 때로는 질병을 불러오기도 합니다. 그것은 만족스럽고 행복한 피곤함과는 거리가 멀고, 긴장, 부담, 불만, 그리고 결국에는 감당할 수 없는 피로...
-
안중근 기념사업회 월례미사 강론
오늘 현충일이자 성체성혈대축일입니다. 지금 우리는 안중근 기념사업회에서 월례미사를 드리고 있습니다. 이 셋을 연결하는 공통 단어는 '피' 같습니다. 국가를 위해 피를 바친 피, 교회를 위해 흘린 피, 인류를 위해 흘린 피를 기념하는 날입니다. ‘피의 의미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한국천주교회는 평신도가 ...
-
임피제 신부 87회 생신을 축하드리며
개인의 생일 기사를 가톨릭프레스 표제기사로 싣기란 사실 주저되는 일이다. 그러나 임피제 신부의 경우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훌륭한 사제의 아름다운 삶을 독자에게 소개하는 것은 우리가 만사를 제치고 서두를 일이다. 사제도 칭찬에 목마르고, 신자들은 애타게 훌륭한 사제를 알고 싶다. 임피제 신부(본명 패트릭 J. 맥그린치, 성골롬...
-
사제들의 강론 이대로 괜찮은가?
바오로 6세는 “신자들은 (사제들의) 가르침에서 많은 것을 기대합니다. 그리고 단순하고, 명료하고, 직접적이며, 제대로 적용된 가르침이라면 그 가르침에서 커다란 이익을 얻을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단순성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가 말하는 것이 헛된 것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언어가 백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