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교회
-
한·일 가톨릭교회, 어떻게 화해하고 협력할 것인가
오는 10월 30~31일 ‘동아시아 기억의 연대와 평화: 한일 가톨릭교회의 화해와 협력’을 주제로 한·일 국제학술회의가 서강대학교 정하상관에서 열린다. 이번 학술회의는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소장 김용해)와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소장 임지현) 공동 주최로 열리며, 한국과 일본 간 갈등을 푸는 것을 공동 과제로 여기는 ...
-
교회와 함께 사회참여를 고민하는 가톨릭청년들
지난 18일 저녁 서울 이문동 소성당에서 봉헌된 서울대교구 7지구 청년연합회 미사에서는 가톨릭청년들이 한국 사회의 핵심 문제들을 다룬 문학작품들을 읽고 쓴 독후감 공모전 시상식이 있었다.독후감 대상이 된 작품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다룬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와 한 가정의 역사를 통해 2016년 박근혜 탄핵까지 대한민국...
-
원주민들의 ‘아마존의 성모’ 나무 조각상 훼손 당해
지난 21일 해외 가톨릭 언론에 충격적인 영상이 공개되었다. 아마존 시노드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의문의 두 남성이 바티칸의 한 성당에 들어가 아마존 원주민들이 봉헌한 ‘아마존 성모’ 나무 조각상을 훔쳐 티베르 강에 버린 것이다. 이 같은 행위는 아마존 원주민의 신앙에 대한 모독일 뿐만 아니라, 인종차별적인 행위라는 보도가 잇...
-
‘주님의 참다운 사제’…경남 민주화운동 대부 김영식 신부 선종
경남지역 민주화 운동의 대부 김영식(알로이시오) 신부가 19일 오전 1시경 향년 70세로 눈을 감았다. 서울에 함세웅 신부, 부산에 송기인 신부가 있었다면 경남에는 김영식 신부가 있었다. 1949년 경남 고성에서 태어난 김영식 신부는 1977년 7월 5일 사제서품을 받았다. 1970~1980년대에 경남 지역 민주화운동에 투신했으며 1987년 6월 민주항쟁 ...
-
떼제 공동체 수사, 성폭행 혐의로 체포돼
지난 18일 떼제 공동체 수사가 성폭행 혐의로 프랑스 경찰에 체포되었다. 피해자 증언에 따르면, 성폭력은 약 15년 전부터 일어났다.< AFP >와 떼제 공동체가 발표한 입장문에 따르면 떼제 공동체 대표 알로이스(Alois) 수사는 얼마 전 한 여성의 신고를 받았다. 피해 여성에 따르면 해당 수사는 수년 전부터 올해 여름까지 여성을 조종하고 영적, ...
-
한국교회, 과연 공론장에서 작동 가능한 신학이 있는가
17일, 서울 한국기독교회관에서는 그리스도교가 가지는 공공성이란 무엇이며, 특히 한국교회가 이러한 공공성을 잃고 사회와 분리된 이유가 무엇인지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도시공동체연구소와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이 주최한 이번 공개포럼에서는 미국 풀러신학교(Full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공공신학을 가르치고 있는 김창환 교...
-
최근 한국 여러 교단의 동성애 이단 결의의 문제점
최근 한국 교회의 여러 주요 교단에서 동성애를 이단으로 규정하기 시작하였다. 2017년 예장 합동 총회는 퀴어성경주석 번역 발간과 관련된 임보라 목사(섬돌향린교회 담임, 한국기독교장로회 서울노회 소속)에 대해 “집회 참석 금지”로 결의했으나, 예장 합신 총회와 백석 대신 총회는 이단으로 결의했다.
-
독신·성직에 관한 논의, 과연 아마존만의 문제인가?
아마존은 군락을 이루어 사는 부족사회의 특성상 ‘혼인’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러다보니 서구화된 사회에서 흔하게 여겨지는 ‘독신’이나 ‘비혼’의 개념에 익숙치 않다. 다른 지역의 성직자, 수도자 양성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아마존 지역의 가톨릭교회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기혼 남성들 중 존경받는 공동체...
-
한국 교회 공공성과 해법을 찾아서
한국교회가 공적 영역에서 신뢰와 영향력을 잃어버린 원인은 무엇이고 이에 대한 대안은 무엇일까?17일, 한국기독교회관에서 한국교회의 공공성 상실과 그에 대한 해법을 논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이번 포럼을 공동주최하는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원장 김영주)과 도시공동체연구소(소장 성석환)는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공공...
-
시노드 참석한 수녀, “여성도 투표할 수 있어야”
지난 11일, 시노드 브리핑에 참석한 여성 수도자이면서 신학자인 비르기트 바일러(Birgit Weiler) 수녀가 시노드에 참여하는 여성 수도자들도 의사결정권, 즉 투표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시노드에서는 시노드의 결과물을 최종적으로 결정하기 전에 최종문건의 각 문단 또는 항목별로 투표를 거친다. 이때 투표권을 갖는 이들은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