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시민들 뜻 모아 부산을 거쳐 일본으로
  • 이원영
  • 등록 2023-11-02 17:14:12

기사수정


한국시민의 뜻을 모아 일본으로 떠나다


대구시민들의 열렬한 지원으로 진행된 도보행진을 대구 MBC가 생생하게 보도했다.


그동안 인터넷 언론 외에는 외면받던 한일시민도보행진이 메이저 언론에서 처음으로 다루어 주었다. 많은 이들이 이제는 이 행진을 알게 되었다. 


▲ 천년고도 경주에 들어섰다. ⓒ 이원영


▲ 경주의 고분지역을 지나면서. 이렇게 오랜 세월을 거친 고분도 기껏 1500년 쯤이다. 방사능은 오염되면 기본 단위가 수천년 수만년이다. ⓒ 이원영


이 무렵 김해창교수(경성대, 환경공학)의 중요 칼럼이 다음과 같은 제목으로 언론에 소개되었다.


[김해창교수칼럼] IAEA최종보고서를 믿을 수 없는 이유


이 칼럼 대목에서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IAEA 보고서의 피폭 평가에서 예탁유효선량(남은 생애 동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총선량)에 대한 기여가 가장 큰 것은 수산물의 섭취로, 섭취를 통해 선량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방사성 핵종은 요오드 129, 탄소14, 철 55, 셀레늄 79이며, 기여율은 90%를 넘는다고 서술했다. ALPS로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가 아닌 다른 핵종이 주는 영향이 더 큰 비율을 차지하는 점도 분명하게 제시했다. ALPS는 설계한 대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방사성물질이 잔류한 처리수를 대량 발생시켜 왔다. 방출된 오염수와 방사성물질의 총량은 결정할 수 없는 상태이다. 얼마나 증가하고, 환경 영향이 어느 정도에서 수습될 수 있는지는 미지수이다."


▲ 나그네에게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성주산 성봉사 일공스님이 메세지를 쓰신다. ⓒ 이원영


▲ (여기서 `빅쿠`는 우리가 흔히 쓰는 한자어발음의 `비구`를 원음에 가깝게 표기한 것.) ⓒ 이원영


▲ 길을 가던 젊은 청년이 우리 캐치프레이즈를 보고 좋아한다. ⓒ 이원영


▲ 많은 시민이 참여한 울산 행진 ⓒ 이원영


▲ 울산 시민사회의 대표격인 한기양 목사님이 메세지를 남겼다. ⓒ 이원영


▲ 필자를 오랫동안 응원해주신 울산 동지, 김병갑(좌) 임수필(우) ⓒ 이원영


▲ 마침 울산에 민주노총의 시위대가 집결하는 날이었다. ⓒ 이원영


▲ 울산에서 부산으로 넘어가는 경계에 있는 새울 원전. 둥근 지붕의 `잠재적 핵지뢰`와 고압선철탑이 가득한 이 한 장의 사진이 많은 것을 말해준다. ⓒ 이원영


▲ 비오는 거리에서 원전을 배경으로 기념사진. ⓒ 이원영


▲ 영남대 교수회 의장을 역임한 이승렬교수와 함께 고리 원전앞에서. ⓒ 이원영


울산에서 부산을 넘어갈 때쯤 대구에서 와주신 이승렬 교수와 함께 행진한다. 영문학 전공의 이 교수는 내년 2월이 정년으로서, 영남대 교수회 의장(700여 교수들이 직접 선출한)을 역임하면서 사학비리와 투쟁을 해오신 동지이기도 하다. 녹색평론 고 김종철 선생과 오랜 교분이 있었고 현재 대구환경운동연합의 상임대표를 맡고 있는, 한국 시민사회의 정예로운 인사 중 한 분이다. 며칠 전 대구에서의 행진도 주도하셨다. 


이분이 필자와 함께 걸은 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다음과 같은 글귀를 남겼다.



▲ 고리핵발전소 인근에 있는 표지판. 표지판에는 해상대피로가 설명되어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 이원영


▲ 국제신문사 회의실에서 김해창교수와 좌담하는 모습 ⓒ 이원영


부산에 도착하여 국제신문사에서 김해창교수와 좌담회를 가졌다.


이 간담회에서 필자가 얘기한 대목 일부를 소개하면,


《 이 전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 안전을 관리하는 기구나 규칙이 없고 있어도 유명무실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거 UN에서 지구 전반의 환경 문제를 통합해 1982년 세계자연헌장을 만들고 2000년 지구헌장을 만들었다. 지구헌장 제6조 D항에 ‘방사능을 늘려서는 안 된다. 배출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 부분은 국제법으로도 제약이 존재한다”면서 “이 룰이 지금도 작동하지만, 일본이나 미국 정부 힘의 논리에 의해 다 무시되고 있다”고 말했다.

(중략)

이 전 교수는 오염수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국제공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한일도보행진도 이런 노력의 하나다. 그는 “해양을 끼고 있는 부산과 울산 목포 강릉 등 도시의 지자체장들이 한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면서 “이들 도시가 일본 내 작은 도시들과 공조해 공동의 목소리를 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런 노력을 통해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각국 시민들이 연합해 UN 인권이사회 산하 특별절차단에 진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전 교수는 “결국 국제사회의 공통된 단합된 노력이 해결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번 한일 대장정은 그런 노력을 위한 민간 차원의 조치”라고 말했다.

한일시민도보행진단은 15일 시모노세키행 페리를 타고 현해탄을 건넌다. 오는 16일 오전 일본에 도착하면 시모노세키에서 도쿄까지 1,100km 거리를 두 달 동안 걸으며 오염수 방류의 문제의 심각성을 현지 주민들에게 알릴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행진 취지에 공감하는 한일 시민의 메시지를 공책에 적어서 한일 정부와 국회에 전달할 계획이다.

행진단은 15일 오전 11시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리는 출정식에서 시민에게 공연과 함께 이번 행진의 취지를 알리는 시간을 갖는다. 이 전 교수는 “한일 시민이 공동의 문제에 대처하는 시간을 만들 것”이라면서 “그 과정이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지구촌의 많은 사람이 관심 두고 동참하는 퍼포먼스로 키우겠다”고 다짐했다.》


▲ 부산 해운대에서 동지들과 함께 기념사진 ⓒ 이원영


▲ 필자가 다녀간 후, 울산에서 진행된 주민행진 장면. 맨앞 인물이 임수필 동지. ⓒ 이원영


▲ 부산에서는 많은 시민들이 함께 행진했다. ⓒ 이원영


▲ 행진단을 배웅하는 부산시민들 행렬이 길게 이어졌다. ⓒ 이원영


집회와 행진의 장면을 KBS부산 방송국이 보도했다.


▲ 한일시민도보행진단의 한국 측 후원회장인 최봉태변호사께서 일부러 부산에 배웅나왔다. ⓒ 이원영


▲ 최봉태변호사 메세지. ⓒ 이원영


▲ 원폭피해자 후손 대표인 이태재님이 메세지를 남기고 있다. ⓒ 이원영



▲ 한국에서 일정을 마치고 시모노세키로 향하는 배를 탔다. 일단은 혼자이지만, 많은 시민의 뜻을 등에 업고 있다. ⓒ 이원영



국토미래연구소장


덧붙이는 글

이 글은 <한겨레:온>에도 실렸습니다.

TAG
키워드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스펠툰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