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전쟁 정전 70년을 맞아, 6월 15일부터 정전협정 체결이 이뤄진 7월 27일까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글로벌 행동의 달’이 선포됐다.
< 정전 70년 한반도 평화행동 >은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첨예해지고 있으며, 잠정적인 휴전상태조차 이대로 지속될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려울 지경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와 관계 개선을 위한 진지한 협상은 2019년 하노이에서 멈춰선 후 다시 시작되지 않고 있다”며 “국제사회의 흐름은 한반도에서의 갈등과 대결을 방관하거나 심지어 부추기고 평화적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는 ‘힘에 의한 평화’를 강조하면서 ‘압도적으로 우월한 전쟁 준비’,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면서, 한미연합군사연습 규모와 성격은 강화되고 있으며 전단 살포도 다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일본과의 군사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과거사 정의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 등 양국 간 주요 현안의 해결도 일방적으로 포기하고 있다. 중국 등 주변국과의 우호협력관계도 희생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한미일-북중러 대결 구도를 만드는데 선봉을 자처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같은 결과로 한반도 주민들은 주변국 갈등에 더욱 깊숙이 개입되고 있으며, 평화적 갈등 해결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 체계는 갈수록 약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300만 명이 희생된 3년간의 전투를 멈춘 상태로 평화협정조차 체결하지 못한 채 적대와 대결의 70년을 보내왔다”며 “오늘날 한반도는 어렵게 들어섰던 대화와 협상, 관계 개선의 길을 벗어나 안전장치 없는 대결의 악순환으로 빠져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는 평화적 대화 노력은 실패했다고 강변하지만, 상황이 악화된 이유는 “새로운 관계로의 전환을 합의하고도, 연합군사훈련 중단 등 상응하는 단계적인 신뢰 구축 조치를 이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협상이 중단된 곳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고조되는 전쟁 위기를 해소할 시간이 우리에게 있다”며 “적대를 멈추고 서로가 느끼는 위협을 감소할 방안을 찾아나갈 협상의 기회도 여전히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평화를 말하기 어려운 시기일수록 평화를 향한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
이들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글로벌 행동의 달’을 선포하며, 국내외 시민들에게 한반도 평화를 위한 행동에 집중해줄 것을 제안했다.
이 기간동안 한반도 전쟁 위기 해소와 평화 실현 위한 100만 서명운동을 진행하며, 7월 22일 ‘정전 70년 평화대회’와 ‘평화행진’을, 27일에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국제심포지엄’ 등을 연다.